현재 위치: > 군정소식 > 새소식

새소식

  • 페이스북 담기
  • 트위터 담기
  • 구글플러스 담기
  • 링크 주소 복사
  • 본문 인쇄
  • 글자 확대
  • 글자 축소

하절기 가축사양관리 및 축종별 방역관리 요령 홍보

작성일
2005-08-18 15:47:09
이름
가축위생담당
조회 :
1776
하절기 가축사양관리 요령 ꊱ 사양관리 ≪온도·환기≫ ○ 고온 다습한 날씨 지속시 방목 금지 및 운동장에 그늘막 등을 설치하고 필요한 경우 가축의 몸에 차가운 물을 살포 - 열사병 발생시 수액·영양제 공급, 충분한 양의 물과 영양공급 ○ 축사 벽·지붕에 단열재 시공 및 환풍기를 설치하고 주기적인 강제환기 실시로 축사내 적정온도 유지 ○ 수해발생시 축사유실·침수에 의한 방풍 및 보온시설 파손 등으로 호흡기·소화기질병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보온조치와 항생제 투여 ≪사료·급수시설≫ ○ 사료에 곰팡이 또는 세균이 증식하지 않도록 수시로 환기시켜 건조상태 유지 - 사료급여통과 급수조는 가급적 자주 청소를 실시하여 청결상태 유지 - 사료 변질여부를 자주 파악하여 신선한 사료를 급여 ○ 수질오염으로 인한 수인성 질병 예방을 위해 신선하고 깨끗한 물을 충분히 공급 ○ 고온다습한 기후가 지속되는 경우 질병 예방차원에서 비타민제, 대사촉진제 및 칼슘·소금 등 미량 광물질을 급여 ○ 수해발생시에서는 부드러운 조사료 및 양질의 사료(비타민, 광물질 등 영양소 첨가) 공급으로 가축이 안정되도록 함 ≪소독·살충≫ : 모기매개전염병 예방 ○ 장마철에는 축사내부를 집중적으로 소독을 실시하고 비가 그친 후에는 축사 내·외부 소독 실시 - 장마철 축사가 침수되지 않도록 배수로 확보 또는 비가 새지 않도록 조치하고 축사가 침수된 경우 가급적 빨리 배수하고 축사 내·외부 청소 및 소독실시 ○ 수해발생시 침수된 사료급이기 및 급수시설 청소 및 음수 소독실시 - 침수 가축은 피부병 예방을 위한 신속한 몸 세척·소독실시 및 각종 예방접종 철저 ○ 축사 내·외부 및 주변 물웅덩이(모기 서식지) 생성 방지 및 살충제 살포로 모기 방제 - 축사에 방충망 및 모기퇴치등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구충작업 실시 - 모기매개 질병 예방접종 철저 ○ 침수로 인한 폐사축 발생시 신속한 매몰·소각 처리로 부패 등에 따른 2차적인 전염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독철저 ꊲ 모기매개전염병 등 환축 발견시 조치요령 ○ 환축 발견시 수의사에 진료요청 또는 관할 가축방역기관에 신고 - 열사병·기립불능증 및 아까바네·유행열·일본뇌염 등 모기매개전염병 의심축 발생시 신속히 가축방역기관에 신고 ○ 가축방역기관에 신속한 병성감정 의뢰 및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문가와 상담 조치 - 수해지역에 대한 가축질병 예찰활동 및 방역지도 강화 축종별 방역관리 요령 ≪ 소 ≫ □ 일반적인 소질병 예방 관리 ○ 갑작스런 사양환경 변화 및 스트레스에 의한 항병력 저하 대책마련 - 충분한 초유공급 및 신생송아지에 대한 철저한 사양관리 - 착유전이나 수유전에 반드시 유방 및 유두침지 소독 실시 - 축사붕괴 및 일교차 등에 대비한 방풍 및 보완관리로 호흡기 및 설사병 예방 강화 ○ 주요질병에 대한 각종 예방접종관리 철저 - 합포체성폐렴, 파라인플루엔자, 전염성비기관염, 코로나바이러스 및 소바이러스성설사(BVD), 소유행열 등 주요전염병 예방접종강화 ○ 홍수에 따른 심부 토양 유출에 의해 발생이 우려되는 토양유래성 질병(탄저·기종저), 장독혈증 등 예방관리 및 소독철저 ○ 전염성 각결막염(일명 pink eye) 예방을 위해 파리 등 해충구제를 실시하고 환축은 즉시 격리 및 식염수 세정 후 항생제 점안치료 ○ 모기매개전염병 예방을 위한 모기구제 및 축사 내·외부 소독, 축사주변 물웅덩이 제거 <유방염 예방관리> ꋻ 축사 주변 및 운동장의 배수로를 정비하여 습한 환경 방지 ꋻ 파리 등 구충 및 운동장 소독으로 유방염 원인균 제거 ꋻ 착유전·후 유두 세척 및 침지 소독 등으로 세균오염 방지 ꋻ 유방내 응고물 및 독소 제거를 위한 세척실시와 소염제 주사 ꋻ 유방염균에 대한 감수성 검사 및 효능 있는 약제로 치료실시 ꋻ 전신성 유방염의 경우 수액 및 전해질 등 공급 <소 기립불능증> ꋻ 고온·다습한 경우 선풍기나 휀을 이용한 강제 환기 실시 ꋻ 고온·다습한 날씨 지속될 경우 방목 금지 및 그늘막 설치 ꋻ 축사 내외부와 주변 웅덩이 소독 및 모기퇴치등 설치 ꋻ 사육단계별 권장사료를 급여하고 곰팡이가 끼거나 오래 보관된 사료 사용금지 및 양질의 조사료를 공급 ꋻ 신선한 물을 공급하고 예방차원에서 비타민복합제 및 칼슘·소금 등 미량광물질 급여 ≪ 돼지 ≫ □ 돼지질병 예방관리 ○ 4P(PRRS, PMWS, PRDC, PED)질병 등 호흡기질병 증가 우려로 밀사를 피하고 환기 개선 ○ 창상에 따른 토양유래성 질병인 돈단독 및 클로스트리디움증 등과 같은 질병 예방접종 철저 ○ 흉막폐렴, 전염성위장염, 유행성설사병 및 로타바이러스감염증 등에 대한 예방접종 철저 ○ 충분한 초유공급 및 보온관리 철저 ○ 무유증 예방관리 철저 및 전해질공급 실시 ○ 일본뇌염 예방을 위한 축사내외 및 주위웅덩이 모기구제 철저 □ 살모넬라감염증, 대장균성설사증(자돈) 등 소화기 질병 <살모넬라감염증> ꋻ 돈사내에 소독철저·청결유지 ꋻ 발병돼지 격리·치료 및 만성감염 돼지 도태·제거 ꋻ 돼지가 출하된 후 돈사에 대한 세척·소독 실시 후 돈사가 충분히 건조된 다음 돼지 입식이 바람직(일정기간 후 입식) <대장균성설사증> ꋻ 분만사 청결유지 및 신생 자돈에 충분한 초유 공급 ꋻ 분만전 모돈 대장균 백신접종으로 자돈에 면역항체 공급 ꋻ 탈수 방지를 위한 전해질 공급 ꋻ 원인 대장균에 대한 약제 선발 및 3~5일간 항생제 투여 ≪ 닭 ≫ □ 닭질병 예방관리 ○ 뉴캣슬병, 전염성기관지염, 전염성후두기관지염, 만성복합호흡기질병 등에 대한 예방접종 철저 ○ 수해시 수질오염에 의한 전염성 질병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수 및 주위 환경 소독 철저 - 콕시듐증과 같은 설사병 예방을 위한 유입된 토사제거, 계사바닥 건조, 톱밥공급 및 소독철저 - 수해에 따른 다양한 스트레스 발생으로 발병이 높아지는 조류인플루엔자, 가금티푸스 등에 대한 사전 예방활동으로 비타민 C 등 면역증강제 및 항스트레스제 투여 - 수해 뒤 급격히 증가하는 모기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연막소독 및 계사 주위 웅덩이 소독으로 류코싸이토준병 등의 모기매개성 질병의 조기 차단 - 수해 뒤 일정기간 스트레스를 감소하기 위하여 급박하지 않은 백신접종, 사료교체 등은 당분간 연기 ○ 호흡기질병 예방을 위해 분동 등 평당 사육수수를 최소화하여 밀사를 피하고 계사 환기량을 증가시켜 유해가스로 인한 피해 사전예방 <가금티푸스 예방요령> ꋻ 양계장내 외부인ㆍ차량 통제 및 소독 철저 ꋻ 성계와 병아리 격리 사육 ꋻ 가금티푸스에 감염되지 않은 종계장으로부터 병아리 구입 ꋻ 출처가 불분명한 중병아리 구입금지 ꋻ 구서 및 계사도구 청결유지 및 주기적 소독 ꋻ 가금티푸스 전염원인 감염된 닭의 분변 관리철저 ꋻ 병성감정기관에서 정확한 진단 및 효과적인 약제 선발후 치료


만족도 조사

현재 열람하신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?

평가

담당부서
행정과 정보화담당(☎ 055-940-3000)